[ photo via flickr by Kyle !!!11!!one!! ] 이전 포스트에서 살펴 보았던 멘션 모니터링 툴이나 정량적 분석 툴은 기계적인 알고리즘 하에서 기록되는 데이터의 통합 분석 작업으로 진행되는 비교적 객관적인 과정이라고 한다면 정성적 분석 툴은 그에 비해 주관적인 판단의 기준에 대한 정지작업부터 논란에 휩싸이기 쉬운 상당히 복잡하고 까다로운 작업의 산물일 수 밖에 없습니다. 트위터 상에서 언급되는 각종 브랜드, 기업, 제품 및 수많은 객체(단어)들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중립적, 혹은 기타 가치판단적 성향의 판별은 그 자체로서도 상당히 주관적인 부분이 개입될 수 밖에 없을 뿐 아니라, 문장이나 문맥 속에서 어떤 식으로 언급이 되고 또 다른 단어와의 관계가 어떤 방향으로 개입이 되는..
마케팅 일반 & 경영
2010. 7. 11. 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