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tAOTW/btqwXHaeWxw/kIvjBL5UmRE10D9SO74C6K/img.jpg)
유재석이나 아이유와 같은 스타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다. 그들은 속한 분야에서 최고로 인정 받는 실력, 선하고 긍정적인 이미지 등을 요소로 가진 강력한 퍼스널 브랜드 그 자체이다. 브랜드 파워는 웬만한 대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 이상일 정도다. 어떤 요소가 그들을 한 개인으로서 최고의 브랜드로 성장하게 만들었을까? 무엇이 우리로 하여금 그들을 인정하고 좋아하게 만드는 것일까? 그 핵심은 그들이 우리 대중에게 주는 가치에 있다. 그들은 즐거움, 행복한 감정, 긍정적인 영향력을 생산한다. 우리는 그것들을 소비한다. 그들이 참여하거나 만들어내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음악 등은 그들과 대중을 연결해 주는 운송수단이자 공감도구다. 우리는 그들을 통해서 재미, 웃음, 감동, 영감 등의 정서를..
날이 갈수록 평균수명이 높아지고 있다. 반면 실질 퇴직 연령은 정체하거나 낮아지는 중이다. 이는 곧, 은퇴하고 상당히 오랜 세월을 직장 없이 보내야 하는 사람들이 점점 빠르게 늘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첫 직장을 잡기 어려운 청년 실업률만큼이나 직장에서 쉽게 잘리고 일찍 퇴직을 강요당하는 비자발적 조기은퇴율의 증가는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생계형 자영업자들의 암울한 현실도 이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독립적인 경쟁력과 생존 능력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떠밀리듯 직장 생태계 밖으로 밀려 나온 40대에서 60대 초반 직장인들은 생계 문제의 짐과 더불어 만만치 않게 남은 수십년의 여생을 보내야 하는 부담을 떠안게 된다. 이런 상황은 이들로 하여금 진지하게 제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