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제 2의 인생을 시작하든, 퇴사 후 창업을 하든, 또는 조직 내에서 특기를 계발하든, 나만의 분야를 찾아야 한다. 전문 영역은 일품 요리와 비슷하다. 한 분야에서 뛰어나거나 차별화되는 것이 시장에서 자리잡는 데에도 매우 유리하다. 욕심이 많아서 굳이 이것도 해보고 싶고 저것도 해봐야겠다면, 그건 어느 한 분야에서 탄탄한 자리를 구축한 후에 눈을 돌려도 늦지 않다. 일단 하나의 분야를 정해서 나를 그 시장에 알리고 정착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 해야 한다. 그 분야에서 '나'라는 브랜드가 고객의 마음에 포지셔닝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급선무다. 과연 나는 어떤 분야의 전문가가 될 것인가? 사실 이 문제는 적성이 무엇이냐라는 질문처럼 평생 해결이 힘든 난제이기도 하다. 더군다나, 갓 졸업을 하고 사회..
옛날 같으면 인생의 마감에 대해 고민을 해야 했을 나이대인 4050. 오늘날 이 시기는 살아 온 만큼의 시간을 또 한 번 더 살아 내야 할 걱정, 아니 준비를 해야 하는 시점으로 인식되는 시대가 되었다. 기대수명은 급격하게 늘어나는데 반해 은퇴 시점은 마냥 줄어들어 인생에서 안정된 직장을 다닐 수 있는 날의 비중은 급격히 감소하기만 하는 이상한 시대. 하지만 어찌 하겠는가. 거대한 시대의 흐름에 의해 변화하는 시스템에 불평만 하고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오히려 새롭게 주어지는 많은 시간을 새로운 또 하나의 삶의 기회로 삼아서 능동적으로 변화에 적응하고 그에 대한 준비를 해나가는 것이 가장 현명한 대처 방법일 것이다. 이전과는 달라진 4050이 마주하는 현실. ‘일’과 관련된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
날이 갈수록 평균수명이 높아지고 있다. 반면 실질 퇴직 연령은 정체하거나 낮아지는 중이다. 이는 곧, 은퇴하고 상당히 오랜 세월을 직장 없이 보내야 하는 사람들이 점점 빠르게 늘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첫 직장을 잡기 어려운 청년 실업률만큼이나 직장에서 쉽게 잘리고 일찍 퇴직을 강요당하는 비자발적 조기은퇴율의 증가는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생계형 자영업자들의 암울한 현실도 이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독립적인 경쟁력과 생존 능력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떠밀리듯 직장 생태계 밖으로 밀려 나온 40대에서 60대 초반 직장인들은 생계 문제의 짐과 더불어 만만치 않게 남은 수십년의 여생을 보내야 하는 부담을 떠안게 된다. 이런 상황은 이들로 하여금 진지하게 제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