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2oJ9A/btqy3aPwlLF/juKbN2kqcJe9RQMxxV0qm0/img.jpg)
유튜브의 폭발적 성장과 인기에 다소 저평가된 느낌이 있지만 팟캐스트는 여전히 이용자 층이 탄탄하고 인기가 높은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 중의 하나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TV가 대중매체의 왕좌를 차지하고 있던 때에도 라디오는 나름 그와 차별되는 역할을 해왔고 폭넓은 청취자 층을 거느려 오고 있는 것을 모두 목격하고 있다. 이 점을 상기해 본다면 팟캐스트가 꾸준한 이용자층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갈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전혀 무리가 아니다. 팟캐스트는 다양한 형태로 이용이 가능하다. 여러 플랫폼에서 구독을 통해 스트리밍을 청취할 수도 있고 내려받기를 통해서 언제 어디서나 들을 수도 있다. 또한 팟캐스트는 다른 플랫폼에 비해 보다 더 자유롭고 다양한 상황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출퇴근길, 잠시의 휴식시간, 식사 중..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SKfyP/btqyLf5Fj93/soHTJjkw58VHJ2ZCVNJCG0/img.jpg)
지난 글에서는 퍼스널 브랜딩을 위한 콘텐츠 마케팅 전개 과정에서 목표와 역량을 수립 및 분석하고 주력 분야를 결정하는 단계를 알아 보았다. 이는 큰 틀을 잡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명확하게 하는 거시적 결정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내가 가야 할 길이 어느 쪽인지, 내가 준비가 잘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점검하는 단계인 것이다. 이 과정을 마무리하면 이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단계로 돌입하게 된다. 구체적인 실행 단계의 첫 걸음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개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전통적 방법인 STP, 즉 시장을 세분화(Segmentation)한 후 목표 시장 선정(Targeting)하고 독점적 차별화를 위한 포지셔닝(Positioning) 전략을 수립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시장 세분화 (Segmenta..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z61Wh/btqysMpoobQ/waXMwZXtLzvKTjW6diHIUk/img.jpg)
퍼스널 브랜딩을 위한 콘텐츠 마케팅 목표를 명확히 수립하고 수행 역량에 대해 냉정한 분석을 마쳤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전체적 전략을 수립하는 단계로 진입한다. 이 단계는 개별 콘텐츠나 시리즈 등을 기획하는 것이 아니라 향후 전개하려는 콘텐츠 마케팅의 전체적이고 거시적인 틀을 잡는 과정이다. 그 중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콘텐츠 마케팅을 통해 브랜딩을 구축할 분야를 결정하는 것이다. 즉 목표로 하는 큰 틀의 시장을 정해야 한다. 여기에서 ‘시장’이라는 말을 사용한 데에 주목을 할 필요가 있다. 시장은 ‘사람’과 ‘돈’의 합이다. 내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려고 할 때 그것에 관심을 가질 만 한 사람들이 있고 그 사람들이 구매 행위를 할 돈을 갖고 있는 곳이 시장이다. 콘텐츠 마케팅의 경우 내가 만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spAxk/btqyqTz6ItH/ZCnrEl52oKHiQJ9LkuiQmk/img.jpg)
콘텐츠는 유용하게 소비되어질 운명을 지니고 태어난다. 마케팅을 비롯한 상업적 목적으로 제작된 콘텐츠는 목표 청중이 소비해 주지 않으면 존재의 의미가 없다. 예술이나 문학 콘텐츠도 별반 다르지 않다. 일기나 습작 등 일부를 제외하면 말이다. 콘텐츠 생산자 중에서 다른 사람들이 자신이 만든 콘텐츠를 보거나 듣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까? 아마 없을 거라고 확신한다. 지금 이 글을 쓰는 내 자신도 매번 블로그에 포스팅을 작성하면서 누군가가 내 글들을 좀 읽어줬으면, 읽고 적어도 최소한의 가치를 느껴 줬으면 하는 간절한 바람을 해보곤 한다. 그렇게 본다면 콘텐츠는 그것을 만드는 이가 목표 청중에게 제공하는 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목표 청중은 그 상품을 소비하는 소비자다. 상품은 소비자에게 가치를 제공해야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SpnmB/btqxKp8CLvM/pmFdxHdk1PVKb8pq83lpa1/img.jpg)
콘텐츠 마케팅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 중 하나는 일관된 분야의 콘텐츠를 꾸준히 지속적으로 생산해 낼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콘텐츠 마케팅은 하루 아침에 그 효과를 볼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특히 퍼스널 브랜딩을 목표로 하는 콘텐츠 마케팅은 생각보다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 퍼스널 목표와 역량 분석은 퍼스널 브랜딩을 통해 원하는 바가 정확히 무엇인지, 콘텐츠를 생산해 낼 의지와 능력이 있는지, 그리고 그 콘텐츠를 단발성이 아닌 장기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낼 역량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는지 냉철하게 분석하고 점검하는 작업이다. 스스로가 분석을 하고 평가를 해야 하는 일이기 때문에 객관적인 측면이 부족할 수는 있겠지만 자신을 냉철하게 판단해 보는 과정은 이후 콘텐츠 마케팅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큰 도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