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튜브의 폭발적 성장과 인기에 다소 저평가된 느낌이 있지만 팟캐스트는 여전히 이용자 층이 탄탄하고 인기가 높은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 중의 하나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TV가 대중매체의 왕좌를 차지하고 있던 때에도 라디오는 나름 그와 차별되는 역할을 해왔고 폭넓은 청취자 층을 거느려 오고 있는 것을 모두 목격하고 있다. 이 점을 상기해 본다면 팟캐스트가 꾸준한 이용자층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갈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전혀 무리가 아니다. 팟캐스트는 다양한 형태로 이용이 가능하다. 여러 플랫폼에서 구독을 통해 스트리밍을 청취할 수도 있고 내려받기를 통해서 언제 어디서나 들을 수도 있다. 또한 팟캐스트는 다른 플랫폼에 비해 보다 더 자유롭고 다양한 상황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출퇴근길, 잠시의 휴식시간, 식사 중..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건을 고를 때 구매자들의 후기에 영향을 받는가? 계절이 바뀌는 시기에 남들의 옷차림에 신경을 쓰는가? 많은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음식이나 영양제는 무조건 안심하고 먹는 편인가? 그렇다면 당신은 비교적 사회적 증거에 민감한 편이다. 사회적 증거(Social Proof)는 자신이 속한 사회, 집단 등 공동체 구성원들의 의견, 행동, 태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을 말한다.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우리는 주변 사람들에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때로는 내 생각과 꽤 차이가 나는데도 불구하고 주위의 많은 이들이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함에 따라 내 생각을 바꾸는 일까지 일어나기도 하는 건 아주 드문 일은 아니다. 어쩌면 혼자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사는 사회에서 나름 이유 있는 행동일 수 있을..

지난 글에서는 퍼스널 브랜딩을 위한 콘텐츠 마케팅 전개 과정에서 목표와 역량을 수립 및 분석하고 주력 분야를 결정하는 단계를 알아 보았다. 이는 큰 틀을 잡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명확하게 하는 거시적 결정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내가 가야 할 길이 어느 쪽인지, 내가 준비가 잘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점검하는 단계인 것이다. 이 과정을 마무리하면 이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단계로 돌입하게 된다. 구체적인 실행 단계의 첫 걸음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개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전통적 방법인 STP, 즉 시장을 세분화(Segmentation)한 후 목표 시장 선정(Targeting)하고 독점적 차별화를 위한 포지셔닝(Positioning) 전략을 수립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시장 세분화 (Segmenta..

며칠 전 늦은 저녁, 일을 하다가 눈이 피곤해서 잠시 침대에 누웠다. 내 침대에는 큰 베개가 하나 있는데 그걸 안고 옆으로 비스듬히 누워 있다가 선잠이 들었다. 그런데 갑자기 뱃살에 따끔거리는 느낌이 들어 깼다. 이내 일어나서 확인해 보니 무려 다섯 곳이 조금씩 부풀어 오르기 시작하고 있었다. 양상을 보아 하니 분명 뭔가에 물린 자국이었다. 모기 아니면 집진드기가 용의 선상에 올랐다. 재빨리 물파스를 바르고 나서 마저 일을 마치고 잠을 청했다. 문제는 다음 날 아침이었다. 그 자리들이 꽤 많이 부풀어 올랐다. 벌에 쏘인 것보다는 조금 덜 하지만 꽤 당황스러울 정도의 크기와 색깔이었다. 사실 몇 년 전에도 모기에 물려 다리 한 곳이 그 지경이 된 적이 있었다. 워낙 모기에 잘 물리는 체질이지만 자국이 이런..

마케팅은 사람의 마음에 브랜드나 제품, 서비스를 심는 일이다. 사람들이 원하거나 필요로 하는 바를 알아 내는 작업이다. 고객에게 만족과 기쁨을 주며 감동을 선물하는 과정이다. 궁극적으로 그들 모두에게 행복을 느끼게 만드는 미션이다. 마케팅은 시장(MARKET)을 움직여서(ING) 경제가 살아 숨쉬게 만드는 것이다. 시장은 사람과 돈으로 이루어져 있다. 돈은 스스로 움직일 수 없다. 결국 돈을 움직이게 하는 건 사람, 즉 소비자다. 그리고 그 소비자 한 사람 한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것이 있다. 그것이 바로, ‘마음’이다. 전략적인 마케팅 기획자들은 목표 고객들이 원하는 바가 도대체 무엇인지 필사적으로 알아 내려고 애쓴다. 가능한 마케팅 조사방법을 모두 동원하고 직접 만나서 의견을 청취하기도 한다. 결과를..

퍼스널 브랜딩을 하기에 가장 효과적인 도구는 콘텐츠라고 지난 포스팅에서 말한 적이 있다. 콘텐츠라는 것이 오늘날에는 너무도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단어라서 서로 생각하는 바가 같을 것이라고 모두 추정한다. 즉, 콘텐츠는 무얼 말하는 걸꺼야, 그리고 다들 그렇게 생각하겠지, 라는 식이다. 하지만 모든 소통에 있어서 생기는 큰 차이는 아주 사소한 틈에서 시작되기에 ‘콘텐츠’라는 것을 한 번 정확하게 짚고 넘어가 보고 싶다. 퍼스널 브랜딩에서 가장 핵심적인 마케팅도 콘텐츠 마케팅이기에 이 작업은 꽤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콘텐츠는 분명히 영어다. 그러면 영어 철자는 어떻게 될까? ‘contents’가 맞을까? 아니다, ‘content’가 맞다. Cambridge Dictionary의 정의에 의하면 ‘conten..
가와시마 미나미는 일본의 도립 호도쿠보 고등학교 학생이다. 그녀는 어떤 이유로 인해 갑작스럽게 학교 야구부의 매니저를 맡게 된다. 이 학교는 전국고교야구경기대회에 한 번도 진출해본 경험이 없다. 물론 실력도 성의도 없다. 학교는 대학 진학을 중시하기 때문에 운동따위에는 큰 관심이나 지원은 없다. 그러다보니 야구부 자체의 분위기도 냉랭하고 연습도 대충이다. 감독도 어쩐 일인지 부원들과 밀접한 관계가 아니다. 미나미는 자신이 매니저가 된 이상 무언가 목표를 갖고 싶었다. 그 목표를 ‘전국고교야구경기대회’ 본선에 진출하는 것으로 정했다. 목표는 정했지만 방법을 알 수 없었는 그녀는 ‘매니저’라는 자신의 직분을 파악하려고 자료를 찾다가 경영학의 구루 피터 드러커의 ‘매니지먼트’라는 책을 우연히 사서 읽게 된다...
아래 내용은 경영학의 대가 피터 드러커가 그의 명저 "Management : tasks, responsibilities, practices"에서 첫 장에 마케팅에 대해 적은 글이다. 그는 '기업의 존재를 결정짓는 것은 고객이며, 고객이야말로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매기는 유일한 객체이고 그들은 제품과 서비스 자체가 아니라 그것들이 제공하는 '효용'을 구매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즉, '기업의 목적은 바로 고객을 창조하는 것'이라고 단언하며 이를 위해 마케팅과 이노베이션이 작동해야 한다고 말한다. 기업들과 그 제품, 서비스를 대상으로 소비자운동이 벌어진다는 것은 곧 그 대상 기업이 마케팅을 말로만 떠들고 실제로는 제대로 된 마케팅을 실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반증한다. 소비자운동을 벌이는 이들..
제 2 편 페이스북 마케팅 제 2 부 기본적인 페이스북 마케팅 활용 방법 지난 호에서 기술하였던 바와 같이 페이스북은 개인을 위한 프로필과 회사 및 유명인사 등을 위한 공식 페이지를 제공한다. 마케팅을 한다고 해서 반드시 공식페이지를 사용해야 할 필요는 없다. 1인기업이나 자신의 이름을 걸고 비즈니스를 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프로필 페이지를 활용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보다 다양하고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위해서는 공식 페이지를 개설해 활용할 것을 권한다. 페이스북 페이지의 특성 페이스북 페이지는 기업의 공식 대표자 또는 담당자 또는 유명인사 자신 만이 개설할 수 있다. 즉 프로필과 달리 페이지는 비즈니스용으로 설계된 것이다. 페이지는 프로필과 달리 25명 이상의 팬이 확보가 되면 페이스북..
[ photo via flickr by Tony Hanna ] 다음은 외식업계의 대표 월간지인 '외식경영'에 실린 저의 인터뷰 내용입니다. 아직 많이 모자란 데에도 불구하고 컨설팅 고문으로 계신 김태경 박사님의 추천으로 인터뷰가 실리게 되었습니다. 외식업 뿐만 아니라 최근 많은 업체, 업소들이 소셜미디어 마케팅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우선 트위터, 페이스북 등의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마케팅은 돈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소통의 범위가 넓고 고객 만족도가 비교적 높은 쾌적한 미디어입니다. 두번째는 접근이 까다롭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마케팅 활동에 있어서 진입장벽이 낮은 것이지요. 노동력과 시간 투자만으로 가능하니까요. 그리고 소셜미디어 마케팅은 대기업보다는 중소..